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고객서비스질병정보

약시란?

임진호 2008-10-09 16:01 3,329

일반적으로 안구의 구조는 모두 정상이지만 시력 장애가 있고 안경으로 1.0의 교정시력으로 교정 되지 않는 경우를 약시라고 합니다.
정의상으로는 시력을 측정하였을 때 양안이 2줄 이상의 차이가 있을 때를 약시라고 하며 원인은 크게 비정상적인 두 눈간의 상호 견제 작용과 정확한 상에 의한 형태시 시자극의 결핍의 두가지로 생각되고 있으며 다음의 몇 가지 종류로 세분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사시가 약시의 원인인 경우를 사시약시라고 하고 4세 이전에 잘 생깁니다. 사시가 있으면 각각의 눈에 물체가 맺히게 되는 부분이 달라 물체가 두개로 보이는 복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눈의 가장 중심 부분인 황반부의 기능을 억제 시켜 한 눈에서 오는 시각정보를 무시하게 되고 결국 많이 사용하는 눈의 시력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만 억제된 눈의 시력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여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두번째로 폐용약시라는 것은 눈꺼풀처짐, 백내장, 각막 혼탁 등 눈 안으로 빛이 정상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상황이 있을 때 발생하는 약시를 말합니다. 특히 어린 소아의 경우에서 가림츠료를 할 때 너무 오랜 기간을 연속으로 한 눈만 가릴 경우에도 약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림치료를 시행하고 있을 때에는 의사의 지시에 잘 따라야 하며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세번째로 굴절이상약시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 이상이 심하게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약시를 말합니다. 활동이 주로 가까운 거리에 국한되어 있는 어린 소아는 근시보다는 먼 거리는 잘 보이나 가까운 곳이 흐리게 보이는 원시에서 약시가 더 잘 발생합니다.
네번째로 굴절부등약시란 양안의 굴절력의 차이 때문에 더 굴절 이상이 심한 눈에 약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양안의 굴절력 차이가 있는 경우를 굴절부등이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양안 망막상의 크기와 선명도가 다르기 때문에 융합이 불가능하여 좋은 쪽 눈을 주로 사용하고 나쁜 쪽 눈의 정보는 무시하게 되어 약시가 발생하게 됩니다. 원시와 난시는 대개 1 디옵터 이상의 굴절부등이 있는 경우 약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근시의 경우에는 더 큰 차이가 있을 때 약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로 기질약시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망막의 시신경 조직이나 시로의 어떤 부분에 이상이 있어서 발생하는 약시입니다.

치료의 목적은 시력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사시, 백내장, 눈꺼풀처짐 등의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해야 함은 물론이고 근시, 원시 등의 굴절이상은 안경으로 교정해 줍니다. 단안 약시의 경우에는 좋은 눈의 가림치료를 시행하는데 상태에 따라 가리는 시간과 기간을 정합니다. 양안 시력이 같아질 때까지 시행해야 하고 집에서 얼마나 치료를 열심히 하였는지가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가림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아트로핀 등의 약을 이용한 처벌치료도 가능하지만 효과는 조금 떨어집니다. 약시의 치료는 모든 연령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고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개 만 10세까지 치료를 시도하지만 특히 선천 백내장의 경우에는 생후 6개월-1년이 지나면 효과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