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내사시란
눈이 안으로 돌아가는 사시가 6개월이전에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빈도는 0.5% 정도로 흔한 사시는 아니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인에게는 서양인보다 그 빈도가 더 낮습니다.
 |
유아내사시의 특징은 사시각이 크고 항상 안으로 몰려있다는 것입니다.(그림1)
처음 발병 후 첫 수개월간은 사시각이 증가할 수 있지만 대부분 사시양은 일정합니다. |
눈의 굴절상태는 정상아와 비슷한 분포로 약간 원시를 보이지만 원시 때문에 내사시가 생기는 경우와는 달리 안경을 교정하여도 사시의 모습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사시를 가지고 있는 기간과 비례해서 약 13%에서부터 42%의 아이가 약시 즉 시각기능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환아는 진단시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성인과 같은 방법으로 시력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주시형태를 보고 약시가 동반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됩니다. 즉 두 눈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모두 물체를 잘 따라본다면 시력이 두 눈 사이에 차이가 없이 발달하는 것이고 한 눈만 주로 사용한다면 사용하지 않는 쪽의 눈에 약시가 있다고 생각하고 약시 치료에 들어가야 합니다.
유아 내사시는 하사근 기능 항진, 해리상사시, 잠복 안진 등 다른 안운동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상들은 진단시 동반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수술 후 환아가 크면서 새롭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2,3차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 건강한 아이에서 단독으로 발생하지만 다운증후군, 백색증, 뇌성마비 등의 전신 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고 수두증이나 두개내종양이 있는 환자에서도 내사시가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가능성은 적지만 유아 내사시로 진단된 환자는 이런 전신적 질환을 일단 고려해야 하며 선천성 6번뇌신경마비, 듀안 증후군 등의 특수 사시도 감별해야 합니다.
| 내안각주름이 두드러져 실제 내사시는 아니지만 눈이 몰린 것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등 동양인에게는 가성내사시의 가능성도 생각해봐야 합니다.(그림2) |
 |
치료는
수술이 원칙이고 현재에는 1세 이전의 조기수술을 시행하는 추세입니다. 조기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양안시기능의 발달과 입체시 발달에 더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생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1세 보다 일찍, 즉 6개월 또는 3개월에 수술을 하는 것이 안전하고 더 예후가 좋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시의 기간은 줄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수술을 시행하기 전에 약시가 의심되면 한눈 가림치료로 약시치료를 먼저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