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기타질병정보

식도 양성 종양 (esophageal benign tumor)

김정원 2008-10-06 13:54 6,299


▣ 정의

식도에 발생된 양성 종양으로 악성 종양인 식도암에 비해서 드물어 전체 식도 종양의 10%미만의 발생빈도를 보입니다.

▣ 임상양상

식도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악성 종양보다 젊은 연령층에서 잘 생기며,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악성에 비해 장기적인 경과를 보입니다.

거의 항상 식도 점막 밑에 존재하는 평활근종 (leiomyoma)이 가장 흔하며, 유경강내 종양(intraluminal polyp)이 그 다음 빈도를 차지합니다.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이 관찰됩니다. 식도 내강의 종양은 다양한 정도로 폐쇄 증상을 일으키고, 점막하 종양과 근층내 종양은 보통 증상이 없으나 종양의 크기가 클 때는 연하곤란, 흉부 불편감, 하부 흉부의 작열감 등의 증상을 관찰됩니다. 
 

▣ 진단 방법

1) 단순 흉부 X-선
    대부분의 경우 진단이 안되나 식도종양이 상당히 크거나 평활근종에 석회 침착이 된 경우 등에서 드물게 식도종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식도조영술
    대개 정상적인 식도 양상과 달리 crescentic filling defect 현상을 보이며 특히 식도 조영술 시의 식도 연동운동의 부분적 소실 현상이나 종괴의 움직임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종양 부위 점막이 비정상적이며 반대편 식도점막은 정상으로 나타나는 소견 등이 있으나, 반면에 식도내강이나 근층내 종양과는 달리 점막하 종양의 경우에는 이러한 양상이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3)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은 식도병변과 식도 주위 병변에 의한 압박 병변을 구별할 수 있어 수술 전에 시행하고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은 종양 주위 지방층을 잘 보여주어 주위 조직에의 침범 여부를 확인해야만 할 경우에 시행됩니다.

4) 내시경 식도초음파 검사
점막 근육층에 생긴 특징적인 저에코 음영의 병변과 정상점막을 볼 수 있습니다.

5) 식도 내시경
모든 환자에서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하며 식도내강의 종양인 경우에는 종양을 직접 관찰 할 수 있으며 점막하 종양은 종양을 덮고 있는 점막의 색깔의 변화, 모양의 변화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근층내 종양은 식도내강으로 종양이 밀려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내시경으로 밀면 대개 종양이 움직입니다. 수술을 시행하려면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는 시행해서는 안됩니다.


▣수술적 치료 

병변의 확진 및 완치를 위하여 수술적 치료가 원칙이며, 수술은 흉강경의 도움을 받아서 최소 개흉을 통하여 식도 양성 종양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글 : 흉부외과 조교수 김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