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고객서비스질병정보

미숙아 (희망둥이)

오연미 2008-09-30 16:47 2,851

1. 정의


미숙아란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말합니다.
출생시 체중에 따라서는 출생시 체중이 2,500g 미만일때는 저체중 출생아, 1,500g 미만인 신생아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 체중이 1,000g 미만인 경우에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라고 합니다.



2. 미숙아에게 흔히 생길 수 있는 문제들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유리질막병)
   미숙아는 폐활성물질이 부족하여 출생시 호흡곤란 증상을 보일 수 있으습니다.
   치료로는 인공폐활성물질을 기도를 통해 투여하고 증상 호전될 때까지 인공환기를 시행하게 
   됩니다.

2) 만성폐질환
   생후 28일 이후에도 산소요법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말하며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15% 정도에
   서 발생하게 됩니다.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신생아가 RS바이러스에 의한 모세기관지염이 걸릴 경우 심한 합병증
   을 남길 수 있으므로 시나지스라는 예방약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3) 동맥관 개존
   미숙아에서는 동맥관이 열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맥관으로 인한 증상이 있을 경우 일차적으로 약물(인도메사신)을 투여하게 되며 약물 투여에
   효과가 없고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외과적 결찰을 시행하게 됩니다.

4) 뇌실 내-두개 내 출혈
   미숙아에서 출생 체중이 적을수록 빈도가 증가하며, 주로 출생 후 3일내에 일어납니다. 
   생후 4-7일 사이에 뇌초음파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뇌출혈이 있을 경우 추적관찰을
   합니다. 정도가 3-4단계일 경우에는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5) 고빌리루빈혈증(황달)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황달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수치에 따라 광선치료 또는
   교환수혈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6) 괴사성 장염
   미숙아에서 가장 흔한 장관의 응급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장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경한 경우에는 금식 및 항생제 투여로 치료가 가능하나 증상이 심하거나
   장 천공의 위험이나 장 천공의 증거가 있을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7)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은 시력 장애, 약시, 사시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미숙아 망막증 검사는 재태주수 31주 또는 출생 후 4주 중 더 나중 주수(예, 재태주수
   24주에 출생한 미숙아는 재태주수가 31주가 되는 시점, 재태주수 28주에 출생한 미숙아는
   재태주수가 32주가 되는 시점)에 시행하게 됩니다.
   정도가 심할 경우 cryotherapy나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