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고객서비스질병정보

성대결절

이태훈 2008-09-29 10:44 3,162

▣ 정의

성대 결절은 지속적인 음성 남용 또는 무리한 발성에 의한 국소적 염증반응에 의해 생기고 교사나 가수와 같이 직업적으로 음성남용이 많은 사람에서 잘 생긴다. 어린이에서도 고함이나 큰 소리로 말하는 등의 음성남용에 의해 흔히 발생한다.

▣ 방법 및 관리

지속적 혹은 간헐적인 쉰 목소리가 나타나고 음성피로가 쉽게 나타난다. 결절은 흔히 통증이 없으며 음식물을 삼킬 때 문제도 없다. 신체 검진상 성대의 중앙부에 생긴 결절을 관찰할 수 있다. 결절이 생기는 기전은 성대 사이의 충격에 의해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고, 이곳이 섬유조직에 의해 대치되어 결국에는 결절로 진행한다. 성대결절은 대개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는 자라지 않아 기도폐색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은 일으키지 않으며 악성화 경향도 없다.

▣ 치료

결절의 원인이 되는 음성남용을 억제하고 음성 휴식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다. 또한, 잘못된 발성습관을 교정하는 음성치료가 중요하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 만으로도 결절이 소실되어 대부분의 경우에서 수술은 필요없다. 
인후두 역류가 결절의 치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인후두 역류로 인한 만성 후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약물 치료도 병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