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기타질병정보

보청기

이태훈 2008-09-28 23:23 3,077

◆ 보청기란
 
보청기는 난청인의 귀에 착용하여 소리를 알맞게 증폭시켜 청력을 보완해주는 최첨단 정밀 의료기기로  난청의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듯 보청기의 종류와 특성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보청기 착용전에는 반드시 정확한 검사, 상담, 처방 등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보청기의 구조
 
송화기(Microphone) -음향적 신호(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증폭기(Amplifier) - 보청기의 핵심으로 전기적 신호를 증폭.
수화기(Receiver) - 전기적 신호를 음향적 신호(소리)로 다시 변환.
조절장치(Controls) - 신호(소리)의 크기조절.
전원(Battery) - 전체시스템에 전기를 공급.
 
◆ 종류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
일반보청기 - 주머니형 / 귀걸이형 / 안경형 / 귓속형
특수보청기 - 크로스형 / 주파수변조형 / 골도형 / 인공와우
증폭방식에 따른 분류
아날로그(Analog) - 증폭, 조절 모두 아날로그
프로그램형(Programmable) - 증폭은 아날로그, 조절은 디지털
디지털(Digital) - 증폭, 조절 모두 디지털
 
◆ 보청기의 선택
 
자신에게 맞는 보청기를 고르는 것은 청각 전문가 및 담당 전문의 도움으로만 가능하다.
일단 보청기를 선택하면 청각 전문가 및 담당 전문의는 보청기의 청력 수치를 잘 검토해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보청기를 조정해 준다.
보청기를 한쪽 귀에만 사용할 지 양쪽 귀 모두에 사용할지 여부도 청각 전문가 및 담당 전문의가 결정하며
만약 양쪽 귀 모두에서 청력 손실이 발행했다면 전문의는 보청기 두개를 사용할 것을 권할 것이다.
양쪽위 모두에 청력손실이 있는 경우 보청기를 양쪽 귀에 착용하면 사람들과의 대화에 더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주변이 시끄러운 상황에서도 이해능력이 증가하며 더 자연스러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 보청기의 관리
 
처음에는 조용한 곳에서 시작할 것.
첫 일주일 동안은 하루 1시간씩만 착용하고 그 다음주부터 하루에 2~3시간씩 늘려서 착용하며, 피곤할 정도로 무리하지 말 것.
집중해서 듣는 요령을 터득할 것.
대화시 알아들은체 하지 말 것.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주의 깊게 살필 것.(입술 등)
한번에 상대하는 대화 상대를 3~4명으로 줄일 것.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보청기 음량을 줄일것.
전화를 사용할 경우 스위치를 "T"위치에 두고 사용할 것.(telecoil장치가 있는 보청기에 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