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스킵네비게이션
질병정보
고객서비스질병정보

신생아 황달

오연미 2008-09-24 11:23 3,327

신생아황달은 어떤 병인가요?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이 정상 이상으로 증가하여 피부나 눈의 흰자위막 등에 침착되어 노랗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성인에서 발생하는 황달은 심각한 간담도 질환과 연관이 많은 반면 신생아시기에는 정상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황달이 대부분입니다.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 간의 기능이 아직 미숙하여 수명이 짧은 다량의 태아 적혈구가 파괴됨으로써 생성되는 많은 양의 빌리루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생기게 됩니다. 생리적 황달은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병적인 황달인 경우에는 빌리루빈 수치가 아주 높이 올라가 아기의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 및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황달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신생아 황달은 발생시기에 따라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생후 24시간 내에 나타나는 황달은 ABO 또는 Rh 혈액형 부적합에 의한 용혈성 질환, 패혈증, 드물게는 선천성 감염 등의 심각한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많으며, 생후 2~3일에 나타나는 황달은 초기모유황달(모유수유황달)과 생리적 황달이 많습니다. 생후 1주 이후에 생기는 황달은 후기모유황달(모유황달), 패혈증,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생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황달은 농축담즙증후군, 담도폐쇄, 신생아 간염 등과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황달의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신생아 황달은 얼굴에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할수록 복부, 손바닥과 발바닥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비록 육안적으로 보이는 황달의 정도와 검사 수치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지만 손으로 눌러 보아 배꼽 아래까지 황달이 관찰되면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는 신생아의 발뒤꿈치를 란셋으로 찔러 채혈하여 혈중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하면 되므로 비교적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다. 

 

 

신생아황달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황달 수치가 높은 경우 병적인 황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원인 질환 여부를 감별하는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광선치료를 시행합니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아주 높은 경우에는 교환수혈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